오늘 공부할 챕터는 통사론 3. 문장종결, 4. 부정법, 5. 수어양식과 동사입니다.
3.4.5과 목차는 아래와 같아요.
3. 문장종결
3.1. 평서문
3.2. 의문문
3.3. 명령문
3.4. 청유문
3.5. 감탄문
4. 부정법
4.1. 부정법의 정의와 연구
4.2. 부정법 구현 요소
4.2.1. 부정어
4.2.2. 비수지표지
4.3. 부정법의 특징
4.3.1 부정어가 서술어 뒤에 나타난다.
4.3.2. 의미적(어휘적)으로 부정표현으로 쓰이는 단어가 많고 쓰임새가 엄격하다.
4.3.3 이중부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4.3.4. 부정을 나타내는 비수지표지가 문장에 앞서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4.4. 부정표현 종류와 기능
4.4.1. 부정접미사 역할을 하는 어휘에 의한 부정표현
4.4.2. 부정의 초점에 따른 부정표현
4.4.3. 그 외의 부정표현
5. 수어양식과 동사
5.1. 동사 유형
5.1.1 일반동사
5.1.2. 일치동사
5.1.3 공간동사
5.2. 공간동사의 정의
5.3. 공간동사 하위 유형
5.3.1. 위치(존재)를 나타내는 공간동사
5.3.2. 이동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3. 움직임 방식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4. 취급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5. 모양 묘사를 나타내는 공간동사
5.4. 동시적 결합이 나타나는 동사
5.4.1. 개체 수형이 포함된 동사
5.4.2. 취급 수형이 포함된 동사
3. 문장종결 → 비수지표지로 실현
3.1. 평서문
・ 문장을 평범하게 진술하는 유형, 문장 끝에서 대화 상대방을 응시하거나 고개를 살짝 끄덕이는 비수지표지로 실현, 단 의무적인 실현은 아님.
3.2. 의문문
・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 눈썹을 올리고 눈을 크게 뜸
・ 설명의문문: 의문사를 포함한 의문문, 청자에게 구체적인 설명 요구, 어순의 제약이 있음, 문장 끝에 의문사가 위치하고 눈썹올리기, 눈크게 뜨기라는 비수지표지가 무조건 동반, [질문] 단어 사용은 의문문 앞에 ‘질문이 있다, 질문하겠다’는 의미로 사용
・ 판정의문문: 의문사를 포함하지 않으며, 청자에게 ‘네, 아니오’ 대답 요구, 설명의문문 비수지 + 턱을 약간 몸쪽으로 당기는 비수지 표지 동반
3.3. 명령문
・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문장
・ 주어를 생략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대화 상대자에게 시선을 응시, 단호, 절도 있는 수동
・ [해라](검지만 편 손을 한 위치에 다른 위치로 강경하게 움직임) 수화는 손아랫사람 친구에게만 사용, 손윗사람에게는 상대를 바라보면서 상체와 고개를 숙여 정중한 태도로 말함.
3.4. 청유문
・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도록 요청하는 문장 유형
・ 상대를 향한 시선응시, 고개와 상체숙임의 비수지표지 + 전체적인 수동이 부드럽고 조심스러움.
3.5. 감탄문
・ 눈을 크게 뜨고 입을 동그랗게 벌리는 비수지표지 + 감탄의 표정
예) [한국수어] [못하다] : 수어 못할 줄 알았는데 잘하네~
*눈크게뜨기, 입동그랗게하기 ‘오’
4. 부정법
4.1. 부정법의 정의와 연구
4.2. 부정법 구현 요소
4.2.1. 부정어
・ 한국수어는 조사/보조용언 활용×, 부정접미사 역할을 하는 [없다(손털기)], [아니다, 없다, 아직, 못하다, 말다, 불가능, 안되다, 안돼, 안하다] 등의 부정어를 활용하여 부정법을 구현
4.2.2. 비수지표지(부정표현에 사용되는 비수지 요소)
4.3. 부정법의 특징
4.3.1 부정어가 서술어 뒤에 나타난다.
・ [나] [고기] [먹다] [못] / [나] [술마시다] [안하다]
4.3.2. 의미적(어휘적)으로 부정표현으로 쓰이는 단어가 많고 쓰임새가 엄격하다.
4.3.3 이중부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4.3.4. 부정을 나타내는 비수지표지가 문장에 앞서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4.4. 부정표현 종류와 기능
4.4.1. 부정접미사 역할을 하는 어휘에 의한 부정표현 → 없다(손털기)
4.4.2. 부정의 초점에 따른 부정표현
・ 부정하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사용되는 부정어
4.4.3. 그 외의 부정표현
・ 사용빈도가 높고 의미적으로 중요한 부정표현들
5. 수어양식과 동사
5.1. 동사 유형
5.1.1 일반동사
・ 단순동사, 인칭, 수를 위해 동사의 형태를 바꾸지 않지만 일부 일반동사는 상을 위해 형태를 바꾸기도 함. 시선응시, 공간가리키기, 몸방향와 같은 비수지표지와 함께 표현
5.1.2. 일치동사
・ 인칭, 성, 수, 상에 따라 변하는 동사, 위치 접사는 취하지 않음.
・ 수어 공간에서 동사의 이동 경로와 방향의 변화로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를 표현
・ 어순이 아닌 공간 활용을 통한 시작점과 끝점, 방향으로 주어와 목적어를 결정할 수 있음.
・ 일치동사가 사용된 문장의 어순이 중요하지 않음.
・ 역할: 수어 공간을 사용하고 역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하여, 수어 문장의 효율성 만듦.
・ 공간활용을 통해 주어와 목적어에 해당하는 단어를 반복하지 않고 생략 가능
예) A(나) → B(너) [돕다], A(나) ← B(너) [돕다] // 내가 너를 돕다, 네가 나를 도와주다.
[아빠] [아들] [2] [부르다2] [선물] [건내다2] // 아빠가 두 아들에게 선물을 건네다.
5.1.3 공간동사
・ 인칭, 성, 수, 상에 따라 동사 형태를 바꾸지 않으나 위치 접사를 취함.
・ 일치동사 공통점: 수어 공간 사용 / 차이점: 문법적 역할, 쓰임
・ 일치동사 출발점-도착점, 주어-목적어 위치
・ 공간동사 출발점과 도착점은 지시체가 이동하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 지시체의 지형적인 위치 정보,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을 나타냄, 주어-목적어 표시×
5.2. 공간동사의 정의
・ 움직임+위치동사=분류사동사 > 공간동사가 분류사동사보다 더 큰 부류, 모든 공간동사는 결합하는 접사에 따라 유형을 나눔
5.3. 공간동사 하위 유형
5.4. 동시적 결합이 나타나는 동사
・ 개체수형과 취급수형이 포함된 어휘로 굳어진 동사, 동사와 논항의 구분 불가
다음은 문법 마지막 의미론입니다~~
해당 내용은 국립국어원 한국수어문법 보고서 요약자료입니다. 열공하세요.
'수어 > 수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수어문법 의미론 3.의미전이, 4.도상성과 비유, 5.역할전환 (0) | 2024.01.08 |
---|---|
한국수어문법 의미론 1. 의미이론, 2. 의미관계 (1) | 2024.01.04 |
한국수어문법 통사론 2. 문장구조 (0) | 2023.12.27 |
한국수어문법 통사론 1. 문장성분 (0) | 2023.12.20 |
한국수어문법 형태론 3. 단어형성, 4. 단어변형, 5. 품사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