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어문법 통사론 2. 문장구조입니다.
통사론 전체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통사론 목차
1. 문장성분
1.1. 주성분
1.1.1. 주어
1.1.2. 서술어
1.1.3. 목적어
1.1.4. 보어
1.2. 부속성분
1.2.1. 관형어
1.2.2. 부사어
1.3. 독립성분
2. 문장구조
2.1. 기본문장
2.1.1. 기본문장의 특성
2.1.2. 초점과 화제
2.2. 문장의 확대
2.2.1. 문장의 접속과 종결
2.2.2. 확대된 문장의 특성
2.2.3. 대등적 연결
2.2.4. 종속적 연결
3. 문장종결
3.1. 평서문
3.2. 의문문
3.3. 명령문
3.4. 청유문
3.5. 감탄문
4. 부정법
4.1. 부정법의 정의와 연구
4.2. 부정법 구현 요소
4.2.1. 부정어
4.2.2. 비수지표지
4.3. 부정법의 특징
4.3.1 부정어가 서술어 뒤에 나타난다.
4.3.2. 의미적(어휘적)으로 부정표현으로 쓰이는 단어가 많고 쓰임새가 엄격하다.
4.3.3 이중부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4.3.4. 부정을 나타내는 비수지표지가 문장에 앞서 제시되는 경향이 있다.
4.4. 부정표현 종류와 기능
4.4.1. 부정접미사 역할을 하는 어휘에 의한 부정표현
4.4.2. 부정의 초점에 따른 부정표현
4.4.3. 그 외의 부정표현
5. 수어양식과 동사
5.1. 동사 유형
5.1.1 일반동사
5.1.2. 일치동사
5.1.3 공간동사
5.2. 공간동사의 정의
5.3. 공간동사 하위 유형
5.3.1. 위치(존재)를 나타내는 공간동사
5.3.2. 이동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3. 움직임 방식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4. 취급을 나타내는 공간동사
5.3.5. 모양 묘사를 나타내는 공간동사
5.4. 동시적 결합이 나타나는 동사
5.4.1. 개체 수형이 포함된 동사
5.4.2. 취급 수형이 포함된 동사
2. 문장구조
2.1. 기본문장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으로 이루어져 서술 기능을 한 번 수행하는 문장
2.1.1. 기본문장의 특성
1) 문장의 종결방식
・ {휴지} {시선주기} {수지기호 해제(손풀림)}
・ 서술어 자리에 동사, 형용사, 명사가 다 올 수 있고, ‘서술격조사(-이다)’를 필요로 하지 않음. {휴지}가 조사와 서술격조사의 역할을 함.
2) 주성분과 어순
・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움: 지시와 휴지, 얼굴표지 등 다양한 문법장치를 통해 어순의 제약을 극복
・ 주어와 목적어를 특정할 때 기본 어순 및 다양한 문법장치를 통해 주어와 목적어를 특정
・ 수어는 3차원 공간을 통해 펼쳐지고 비수지표지를 통해 여러 문법정보를 동시적으로 제시
・ 서술어=일치동사: 동사의 이동, 수향 등을 바꾸어 주어 목적어 표시 가능
・ 서술어=공간동사: 동사의 변형을 통해 주어와 목적어가 실현
3) 부속성분과 어순
① 체언을 꾸며주는 수어 어휘와 어순
・ 꾸미는 말(수식어)이 꾸밈받는 말(피수식어) 뒤에, 체언+수식어/용언+수식어 순, 단 용언 뒤에서는 수식어로 기능하지만, 체언 뒤에서는 서술어의 기능을 함.
예) [아내] [낳다] [딸] [예쁘다] → 아내가 예쁜 딸을 낳았다.
[아내] [예쁘다] [딸] [낳다] → 예쁜 아내가 딸을 낳았다.
2.1.2. 초점과 화제
1) 초점화
・ 수신자의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정보를 명확히 강조하는 문장 방식
・ 초첨화 표지 다음에 {휴지}를 두고, 실제 초점 정보는 문장의 끝에 제시되면서 약간의 ‘고개끄덕이기’를 동반함.
2) 화제화
・ 수신자와 공유된 특정 주제나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강조하는 방식
・ 해당 정보를 문두에 제시하여 주의를 끌거나 강조(비수지표지)
・ 이때 정보를 담고 있는 문장성분에 상관없이 문장 맨 앞에 제시 가능
2.2. 문장의 확대
2.2.1. 문장의 접속과 종결
2.2.2. 확대된 문장의 특성
・ 이어진문장의 형태를 취함(안은문장 X), 비수지표지가 접속사 역할을 함.
2.2.3. 대등적 연결
2.2.4. 종속적 연결
1) 인과관계(이유)
・ 선행절의 사건이나 사태가 원인이 되어 후행절의 사건이나 상태를 변화시키는 관계
2) 조건관계(가정/제의)
・ 가정한 선행절의 사건이나 사태를 조건으로 하여 후행절의 결과가 도출되는 관계
3) 의도관계(목적)
・ 한 절의 사건이나 사태가 목적 혹은 의도가 되어 다른 절의 사건이나 상태에 영향을 주는 관계, 목적이 되는 절과 영향을 받은 절의 선후가 자유로운 편, 목적이 되는 절이 주로 후행에 위치
4) 양보관계(인정)
・ 선행절의 사건이나 사태로부터 나타나는 현재 또는 미래의 상황이나 조건을 인정하면서, 후행절에서 의미상 상반되는 내용을 제시하는 일종의 반전관계
5) 배경관계(배경)
・ 후행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선행절에서 미리 설명하는 것 * 입상하지 못하더라도 최선을 다합시다.
예) [부탁] {휴지} [상] [가지다] [실패] [불구하고] {휴지} [노력] [이루다]
*시선응시 *시선교환
6) 인용관계(인용): 어떤 사람의 말이나 글, 생각을 후행절에 옮겨오는 것
다음은 3. 문장종결과 4. 부정법입니다.
해당내용은 국립국어원 연구보고서 한국수어문법자료 요약입니다.
'수어 > 수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수어문법 의미론 1. 의미이론, 2. 의미관계 (1) | 2024.01.04 |
---|---|
한국수어문법 통사론 3. 문장종결, 4. 부정법, 5. 수어양식과 동사 (1) | 2024.01.02 |
한국수어문법 통사론 1. 문장성분 (0) | 2023.12.20 |
한국수어문법 형태론 3. 단어형성, 4. 단어변형, 5. 품사 (0) | 2023.12.18 |
한국수어문법 형태론 1. 형태소와 형태론, 2. 수어단어유형 (0) | 2023.12.13 |